프리액션밸브 세팅 및 드레인 방법 완벽 가이드

프리액션밸브란? 건식 스프링클러의 핵심 장치 프리액션밸브는 주차장과 같은 동파 방지가 필요한 장소에서 주로 사용되는 건식 스프링클러 밸브입니다. 이 밸브는 1차 측은 물, 2차 측은 대기압으로 유지되며, 화재 발생 시 감지기가 교차 회로 방식으로 작동하면 전동 볼밸브(솔레노이드 밸브)가 열려 2차 측으로 물이 채워지고 스프링클러가 작동하는 원리입니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동파 위험이 있는 지역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 Read more

알람밸브 세팅 및 드레인 방법 완벽 가이드

알람밸브란? 화재 초기 대응의 핵심 장치 알람밸브는 습식 스프링클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1차 측과 2차 측이 모두 물로 채워져 있어 화재가 발생하면 즉시 물이 분출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체가 열로 인해 녹으면, 1차 측 압력으로 인해 클래퍼가 열리면서 물이 방출됩니다. 이 과정에서 리타딩 챔버를 지나 압력 스위치가 작동하며 화재 신호가 전달됩니다. 반응 속도가 … Read more

템퍼스위치 유지보수 및 교체 방법

템퍼스위치란 무엇인가? 템퍼스위치는 소방 설비에서 개폐 밸브의 상태를 감시하는 중요한 장치입니다. 이 장치는 밸브가 의도치 않게 닫히거나 조작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경보를 발령하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화재 시 물 공급이 원활해야 하는 소방 시스템에서 템퍼스위치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입니다. 템퍼스위치의 역할 템퍼스위치는 스프링클러 시스템, 소화전 설비 및 펌프 시스템에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합니다. 템퍼스위치 설치 위치 … Read more

감지기 교체 및 오동작 해결 방법 정리

1. 감지기의 역할과 기본 원리 감지기의 역할 감지기는 화재 발생 시 열이나 연기를 감지하여 이를 알리는 중요한 소방 설비이다. 감지기는 해당 구역 내에서 경계구역별로 회로가 설계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신속한 화재 감지가 가능하다. 감지기의 기본 원리 2. 감지기의 결선 방식: 송배전식 송배전식 결선 구조 감지기는 송배전식으로 결선되며, 하나의 선로(라인)에 여러 감지기가 직렬 연결된다. 결선 방식 … Read more

5장 – 수신기, 중계기 (3번, 4번)

1. 수신기의 정의 수신기는 소방 설비의 두뇌 역할을 하는 장치로, 감지기나 발신기가 화재를 인식했을 때 신호를 수신해 경종, 비상방송 등 설비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자동화재탐지설비에서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고, 경계구역 내의 화재 정보를 즉각적으로 알리는 중요한 장치입니다. 2. 수신기의 종류 수신기는 크게 P형, R형, G형으로 나뉘며 각각의 기능과 특징이 다릅니다. 3. 수신기의 설치 기준 2024년 화재안전기준에 … Read more

5장 – 1번 자동화재탐지설비(정의, 기준, 경계구역)

1.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정의 자동화재탐지설비는 화재 발생 시 열, 연기, 불꽃 등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경보를 울리는 소방설비입니다. NFTC 203에 의하면, 감지기와 수신기를 통해 화재 신호를 전달하고, 이를 경종이나 사이렌을 통해 경보합니다. 이 설비는 초기 화재를 신속히 감지하여 대피와 소화를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설치 기준 2024년 화재안전기준에 따르면, 자동화재탐지설비는 다음과 같은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해야 합니다: … Read more

4장 – 단독경보형 감지기(정의, 설치장소, 설치기준, 유지관리)

1. 단독경보형 감지기의 정의 단독경보형 감지기는 화재 발생 시 수신기나 발신기 없이 자체적으로 화재를 감지하고, 내장된 음향 장치를 통해 경보를 울리는 소방 설비입니다. 이는 NFTC 201에서 정의된 것으로, 화재를 감지하고 경보를 발송하는 역할을 단독으로 수행합니다. 2. 단독경보형 감지기의 설치 장소 단독경보형 감지기의 설치 장소는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4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감지기가 … Read more

3장 비상경보설비 (기준, 구성, 점검법)

1. 비상경보설비의 정의 비상경보설비는 화재 발생 시 수동 발신기 스위치를 눌러 수신기에 신호를 전달하고, 경종 또는 사이렌을 통해 건물 전체에 화재 발생 사실을 알리는 설비입니다. 이는 감지기가 없는 대신 발신기만으로 작동되며, 화재 발생 시 신속한 대피를 유도합니다. 2. 비상경보설비의 설치 기준 2024년 기준, 비상경보설비는 다음과 같은 특정 소방대상물에 설치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화재 발생 시 … Read more

2장 자동확산소화기: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 (설치기준, 작동원리, 점검방법)

1. 자동확산소화기의 정의 오늘은 자동확산소화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는 주방의 가스레인지에서 조리 중 화재를 소화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소화기입니다. 이 장치는 화재 발생 시 소화약제가 자동으로 방출되며, 가스 누설 탐지, 경보, 가스 공급 차단 기능까지 수행하여 화재 확산을 막습니다. 2. 자동확산소화기의 설치 기준 자동소화장치는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 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따라 설치됩니다. 아파트 및 오피스텔 … Read more

1장 소화기 (소화기 점검, 소화기 사용방법 4번 ~ 5번)

1. 소화기 압력계란? 소화기 압력계는 소화기 내부의 압력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부품입니다. 압력계는 소화기가 정상적인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지를 알려주며, 압력이 적절하지 않다면 교체하거나 점검을 해야 합니다. 특히, 분말 소화기의 경우 압력계가 녹색에 위치해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수동 소화기 점검의 중요성 수동 소화기는 화재 발생 시 가장 가까운 곳에 배치되어 즉시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