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신기의 정의
수신기는 소방 설비의 두뇌 역할을 하는 장치로, 감지기나 발신기가 화재를 인식했을 때 신호를 수신해 경종, 비상방송 등 설비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자동화재탐지설비에서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고, 경계구역 내의 화재 정보를 즉각적으로 알리는 중요한 장치입니다.
2. 수신기의 종류
수신기는 크게 P형, R형, G형으로 나뉘며 각각의 기능과 특징이 다릅니다.
- P형 수신기: 1:1 라인 방식으로 경계구역별 개별 신호를 관리합니다. 작은 건물에 주로 사용되며, 최근에는 기록장치와 LCD가 추가된 버전이 있습니다.
- R형 수신기: 중계기를 통해 신호를 주고받으며, 중계기와의 통신을 통해 다수의 경계구역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대형 건물에 많이 사용됩니다.
- G형 수신기: P형 또는 R형 수신기에 가스누설탐지 기능이 추가된 유형으로, 가스누설이 발생하면 즉시 신호를 받아 경고를 발합니다.
3. 수신기의 설치 기준
2024년 화재안전기준에 따르면 수신기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 경계구역별로 각각 회선을 표시할 수 있는 수신기를 설치해야 합니다.
- 사람이 상시 근무하는 장소에 설치하거나, 관계인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해야 합니다.
- 경계구역 일람도를 수신기 설치 장소에 비치해야 합니다.
- 수신기의 조작 스위치는 바닥에서 0.8m 이상, 1.5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해야 합니다.
4. 수신기의 주요 기능
수신기는 여러 중요한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 화재표시: 감지기에서 화재 신호를 인식하면 경계구역별로 화재 발생 위치를 표시합니다.
- 작동시험: 감지기와 수신기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신기를 통해 감지기의 작동 여부를 시험할 수 있습니다.
- 전원 확인: 상용전원과 예비전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상이 발생하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킵니다.
- 자동복구 기능: 감지기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점검 후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5. P형과 R형 수신기의 차이
P형과 R형 수신기는 경계구역 관리 방식에 차이가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아래 표에서 두 수신기의 주요 차이를 정리했습니다:
특징 | P형 수신기 | R형 수신기 |
---|---|---|
신호 전달 방식 | 1:1 개별방식 | 1:다 중계기 방식 |
도통시험 | 수동 확인 | 자동 확인 |
회로 수 | 100회로 이내 | 1000회로 이상 가능 |
경제성 | 가격이 저렴하지만 공사 난이도 높음 | 가격이 비싸지만 설치와 유지보수가 쉬움 |
6. 수신기의 유지보수
수신기의 유지보수는 주기적인 점검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주요 점검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경계구역별로 화재신호를 정확히 표시하는지 확인합니다.
- 상용전원과 예비전원의 상태를 점검합니다.
- 수신기의 조작 스위치와 경종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7. 중계기의 역할
R형 수신기에서는 중계기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중계기는 감지기와 수신기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며, 회로를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중계기는 통신선을 통해 신호를 주고받으며, 수신기와의 통신이 끊어질 경우 즉시 경고 신호를 발생시킵니다.
8. 중계기의 설치 기준
중계기는 수신기와 감지기 사이에 설치되며, 다음과 같은 설치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 화재 및 침수 등의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해야 합니다.
- 중계기는 수신기에서 직접 감지기 회로의 도통시험을 하지 않는 경우 설치해야 합니다.
- 전원 입력측에는 과전류 차단기를 설치하고, 전원의 정전 상태를 수신기에 즉시 알릴 수 있어야 합니다.
9. 수신기의 예비전원 관리
수신기는 상용전원 외에 예비전원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정전 시에도 정상적으로 작동해야 합니다. 예비전원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지보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0. 결론
수신기는 소방 설비 중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며,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하고 경종 및 비상방송을 통해 인명피해를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P형과 R형 수신기 각각의 특징을 이해하고, 적절한 유지보수를 통해 수신기의 정상 작동을 보장해야 합니다.
수신기 설치 기준 요약 (표)
설치 기준 | 세부 내용 |
---|---|
경계구역 표시 | 각 회선별로 구역을 표시할 수 있는 수신기를 설치해야 함 |
설치 위치 | 상시 근무자가 있는 장소 또는 관리가 용이한 장소에 설치 |
경계구역 일람도 | 수신기 설치 장소에 경계구역 일람도 비치 |
수신기 조작 스위치 | 바닥에서 0.8~1.5m 높이에 설치 |
음향기구 | 다른 소음과 명확히 구별되는 음량과 음색을 가질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