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화기 압력계란?
소화기 압력계는 소화기 내부의 압력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부품입니다. 압력계는 소화기가 정상적인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지를 알려주며, 압력이 적절하지 않다면 교체하거나 점검을 해야 합니다. 특히, 분말 소화기의 경우 압력계가 녹색에 위치해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수동 소화기 점검의 중요성

수동 소화기는 화재 발생 시 가장 가까운 곳에 배치되어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중요한 소방기구입니다. 법적으로 소화기는 1년에 1회 이상 점검을 권장하고 있으며, 제조일자로부터 10년이 경과한 소화기는 성능 시험 후 재사용하거나 폐기해야 합니다. 소화기 압력계가 정상인지 확인하는 것도 필수입니다.
3. 육안 점검 방법
소화기의 점검은 주로 육안 점검으로 진행됩니다. 특히, 소화기 내부의 분말이 굳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흔들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점검 시에는 소화기 압력계를 확인하고, 분말이 굳지 않게 관리합니다.
4. 소화기 점검 시 체크 사항
- 압력핀: 안전핀이 잘 결착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압력계: 소화기 압력계의 게이지가 녹색에 위치해 있는지 확인합니다.
- 외관 및 호스: 소화기 외관에 부식이나 파손이 없는지, 호스가 잘 결착되어 있는지 점검합니다.
- 명판 및 헤드: 소화기의 능력 단위와 번호가 잘 표시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봉인 상태: 안전핀이 빠지지 않도록 봉인줄이 잘 결착되어 있는지 점검합니다.
5. 소화기의 충전 압력 확인
소화기의 압력 게이지가 녹색을 가리키는지 확인해야 하며, 과압은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압력이 부족하면 반드시 교체해야 합니다. 소화기 압력계는 소화기의 사용 가능 여부를 즉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장치입니다.
6. 소화기의 손잡이와 받침대 상태 확인
소화기의 손잡이와 받침대가 파손되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손잡이가 파손된 소화기는 사용이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즉시 교체해야 하며, 받침대가 파손되면 소화기가 올바르게 보관되지 않으므로 역시 교체가 필요합니다.
7. 수동 소화기 사용 방법

화재가 발생하면 먼저 화재의 종류를 확인한 후, 소화기를 들어 화재 장소로 갑니다. 소화기의 안전핀을 돌려 봉인줄을 제거하고, 안전핀을 뽑습니다. 그 후 호스를 화재 방향으로 잡고, 바람을 등지고 소화기를 작동시킵니다. 이때 소화기 압력계가 정상인지 다시 한 번 확인합니다.
8. 분말 소화기 사용 시 주의 사항
대부분의 가정과 상업시설에서 사용되는 분말 소화기는 ABC급 화재에 적합하며, 화재 진압 후 분말을 처리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화재 발생 시 빠르게 반응하는 것이 중요하며, 소화기 압력계를 자주 점검하여 소화기가 항상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9. 소화기 사용 장소 및 비치 방법
소화기는 화재 위험이 높은 장소에 비치해야 하며, 특히 주방 등에서는 K급 소화기를 비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화기를 잘 보이도록 표지판을 부착하고, 손이 닿기 쉬운 곳에 배치해야 합니다. 또한 소화기 압력계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10. 2024년 화재안전기준에 따른 소화기 관리
2024년 최신 화재안전기준에 따르면, 소화기의 성능 시험과 정기적인 점검이 강화되었습니다. 특히, 노후 소화기의 경우 반드시 성능 시험 후 재사용 여부를 결정해야 하며, 모든 소화기에는 소화기 압력계를 포함한 점검 사항이 충족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소화기 점검은 화재 예방의 첫걸음으로, 정기적인 관리가 필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