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오늘은 수신기에서 축적이 계속 뜨는 현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축적은 감지기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수신기에서 자동으로 복구해 주는 기능인데요. 그런데 가끔 축적이 반복적으로 뜨면서 화재 신호로 전환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어떤 원인 때문인지, 그리고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축적 기능이란?
축적 기능은 감지기가 오작동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보호 장치입니다.
감지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전압 차이를 감지하여 화재 신호를 발생하게 되는데요.
- 감지기의 기본 전압: 24V × 0.8 = 약 19V
- 감지기가 작동하면 두 선이 쇼트되면서 전압이 4~6V로 급락
- 수신기는 이를 감지하여 화재 신호를 전송
그러나 전압이 애매하게 떨어질 경우, 수신기가 화재 신호를 보내지 않고 30초 동안 복구 시도를 하면서 축적 상태가 유지됩니다.
2. 수신기에서 축적이 계속 뜨는 원인

만약 축적이 반복적으로 뜨면서 화재 신호로 전환되지 않는다면, 감지기나 회로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입니다. 주된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감지기 자체의 고장
- 감지기가 오래되었거나 내부 부품에 문제가 발생
- 특히 열감지기는 경년변화로 인해 신뢰도가 낮아질 수 있음
- 연기 감지기의 오작동
- 연기 감지기는 내부에 분진, 이물질, 광센서 이상으로 전압이 애매하게 떨어질 수 있음
- 이 경우 축적 기능이 반복적으로 작동하면서 신호를 보내지 못함
- 회로상의 문제
- 감지기 배선에 문제가 있거나 단선, 접촉 불량이 있을 가능성
- 종단 저항(Terminal Resistance) 전압이 비정상적인 경우
3. 축적 현상을 해결하는 방법
- 출력 연동 해제
- 먼저 경종, 비상방송, 부저 등과 같은 설비의 연동을 해제합니다.
- 이렇게 하면 불필요한 알람 발생 없이 감지기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음.
- 축적을 수동으로 해제하고 감지기 동작 확인
- 수신기의 축적 기능을 해제한 후, 감지기가 동작하는지 확인합니다.
- 축적 해제 후에도 전압 강하가 발생하면 감지기가 즉시 화재 신호를 발생하게 됩니다.
- 이때, 어느 감지기가 동작했는지 추적하여 문제 감지기를 찾습니다.
- 감지기 교체 또는 청소
- 가장 의심되는 감지기부터 점검 및 교체
- 특히 연기 감지기의 분진을 청소하면 정상적으로 동작할 가능성이 높아짐
- 너무 오래된 감지기는 새 제품으로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함
- 종단 저항의 전압 체크
- 감지기 회로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려면 종단 저항 전압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정상적인 전압: 24V × 0.8 ≈ 19V
- 이상이 있는 경우: 17V, 15V 등 비정상적인 전압이 측정됨
- 이 경우 감지기 교체 또는 배선 점검 필요
4. 감지기 점검 및 유지 보수 방법

✅ 정기적인 감지기 점검
- 연기 감지기의 경우 내부 청소 및 점검을 주기적으로 실시
- 열 감지기는 노후화 여부 확인 후 교체
✅ 전압 측정을 통한 이상 감지
- 종단 저항에서 전압이 비정상적으로 떨어진다면 회로 문제 가능성 확인
- 필요하면 배선 수리 또는 감지기 교체
✅ 축적 현상 발생 시 즉각적인 조치
- 출력을 해제한 후 문제 감지기 추적
- 감지기를 교체하여 화재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송되는지 확인
5. 마무리
오늘은 수신기에서 축적이 반복적으로 뜨는 문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축적이 계속 발생하는 경우, 감지기의 문제일 가능성이 크며 연기 감지기의 분진, 열 감지기의 경년 변화, 전압 강하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해결 방법 정리:
✔ 출력 연동 해제 후 감지기 확인
✔ 축적 해제 후 화재 신호 확인
✔ 문제 감지기 교체 또는 청소
✔ 종단 저항 전압 측정 및 회로 점검
앞으로도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 보수를 통해 감지기의 정상 작동을 유지하고, 오동작 없이 신속하게 화재 신호가 전달될 수 있도록 대비하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