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화셔터의 역할과 NFTC 기준에 따른 점검 및 유지보수

방화셔터란?

방화셔터는 화재 발생 시 불과 연기의 확산을 막기 위해 설치되는 중요한 소방설비이다. 건물 내부에서 방화구획을 형성해 화재 피해를 최소화하며, 피난 경로를 확보하는 역할도 한다.

방화셔터는 주로 철제 또는 내화 천으로 제작되며,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작동하여 방화구획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불과 연기의 확산을 막아 건물 내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방화셔터의 구성 요소

방화셔터는 여러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역할이 중요하다.

  1. 셔터 본체 – 철제 또는 내화 천으로 제작되며, 내화 성능을 갖추고 있다.
  2. 모터 – 셔터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며, 전기 신호에 의해 작동한다.
  3. 폐쇄기 – 화재 감지기와 연동되어 자동으로 셔터를 폐쇄한다.
  4. 연동제어기 – 셔터의 개폐를 제어하며, 1단 및 2단 강하 방식을 조절한다.

방화셔터의 작동 방식

최근에는 방화셔터의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2단 강하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1. 1단 강하 – 연기 감지기가 작동하면 셔터가 절반 정도 내려와 초기 연기를 차단한다.
  2. 2단 강하 – 열 감지기가 작동하면 셔터가 완전히 내려와 화재를 차단한다.

이러한 방식은 피난 시간을 확보하고,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방화셔터 설치 시 주의사항

방화셔터를 설치할 때는 몇 가지 중요한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 피난 경로 확보 – 방화셔터가 설치된 구역에는 반드시 피난이 가능한 문이 있어야 한다.
  • 적치물 금지 – 셔터 하강 지점에는 물건을 두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방화셔터의 점검 및 유지보수

방화셔터는 화재 시 정상적으로 작동해야 하므로 정기적인 점검이 필수적이다. 점검 항목은 주간 점검과 정기 점검으로 나뉜다.

주간 점검 항목

  1. 전원 및 외관 상태 확인 – 연동제어기의 전원 공급 상태와 외관을 점검한다.
  2. 수동 스위치 작동 여부 – 수동 스위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3. 적치물 여부 확인 – 셔터 및 방화문 주변에 물건이 없는지 점검한다.
  4. 도어 클로저 작동 상태 – 방화문이 자동으로 닫히는지 확인한다.
  5. 도어 릴리즈 작동 상태 – 자동 폐쇄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6. 방화문 고임 상태 점검 – 방화문이 임의로 열려 있지 않은지 점검한다.

정기 점검 항목

  1. 수동 및 자동 동작 상태 – 셔터의 수동 및 자동 폐쇄 기능을 테스트한다.
  2. 모터 상태 확인 – 모터의 작동 상태와 이상 소음을 점검한다.
  3. 연동제어기 예비전원 확인 – 예비전원의 상태를 점검한다.
  4. 외관 및 소음 확인 – 셔터의 외관과 작동 시 소음을 확인한다.

방화셔터의 유지보수 시 주의사항

방화셔터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유지보수 시 다음 사항을 유의해야 한다.

  1. 정기적인 설정값 조정 – 계절 변화에 따른 압력 변화를 반영하여 설정값을 조정한다.
  2. 배관 및 밸브 점검 병행 – 압력스위치 이상이 발견되면 배관 내 압력 손실이나 밸브 작동 이상 여부도 점검한다.
  3. 수신기 연동 상태 확인 – 압력스위치에서 수신기로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달되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한다.
  4. 비상상황 대비 예비 방화셔터 준비 – 시스템 장애 발생 시 신속한 교체가 가능하도록 예비 방화셔터를 준비해 둔다.

방화셔터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방화셔터의 설치 및 유지 관리는 **화재안전기술기준(NFTC)**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

  • 방화셔터는 내화재료로 제작되어야 하며, 화재 시 자동으로 구획되는 구조여야 한다.
  • 제연설비와 연동되어 화재 시 연기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해야 한다.
  • 방화셔터의 작동은 화재감지기와 연동되어야 하며, 예상 제연구역 및 제어반에서 수동으로 기동이 가능해야 한다.

결론

방화셔터는 화재 시 방화 구획을 형성하여 화재의 확산을 막는 중요한 설비이다. 따라서 평상시 철저한 점검과 유지보수를 통해 화재 시 원활한 작동을 보장해야 한다.

관련 화재안전기술기준을 준수하여 설치 및 유지관리를 철저히 한다면, 화재 발생 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며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방화셔터의 역할을 충분히 이해하고, 주기적인 점검과 관리로 안전한 건축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